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위치 정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위치 정보란 현재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응용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다.

근래, 특히 이 위치 정보에 기반한 솔루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주요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도 위치 정보 제공을 주요 기능의 일부로 포함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주요한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들이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API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장단점에 대해 비교해보도록 하겠다.



1. Java ME의 경우

Java ME는 JSR-179 스팩을 정의하여 위치 정보에 대한 API를 제공한다. JSR-179 스팩은 위치 정보 및 디바이스의 기울기, 속도 등의 부가적인 정보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위치 정보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면, 주소라든가) 또한 제공하는 API로 구성되어 있다.
JSR-179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디바이스가 GPS로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얻고자 하는 위치 정보의 정확도, 비용 등의 고려 사항에 근거하여 현재 장치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중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Java ME 자체가 워낙 다양한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한 구조로 보인다.

2. iPhone의 경우

iPhone의 경우는 H/W가 단일 플랫폼이기 때문에 Java ME와 같이 여러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결정하거나하는 구조가 필요없다. 상당히 단순화된 API를 제공하는데 위치 정보 수신을 시작하기 위한 메쏘드. 이를 중단하는 메쏘드가 거의 대부분의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프로그램은 CLLocationManager 클래스의 startUpdatingLocation 메쏘드를 호출하여 위치 정보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iPhone의 경우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장치의 기울기, 방향 등의 정보를 UIAccelerometer 클래스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3. Android의 경우

Android SDK는 android.location 패키지를 통해 위치 정보 관련 기능을 제공한다. 이 패키지에 포함된 LocationManager 클래스를 이용하여 여러 위치 정보 제공자 중 Criteria를 이용하여 윈하는 것을 얻어올 수 있도록 한다. Criteria는 정확도, 위치 정보 종류, 비용 등의 조건에 따라 위치 정보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하기 쉬운 주소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도, 경도를 알아내거나 혹은 반대의 방법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Geocoder 클래스를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Java ME의 JSR-179와 거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rolling, pitch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빠져있다.


위치 정보에 대해서 3개 플랫폼을 비교해 볼 때 Java ME의 JSR-179가 가장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JSR-179에서 Picth, Roll등의 정보를 얻어오는 부분은 optional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어 대부분의 장치에서는 이 정보를 활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에 반해 iPhone은 장치 자체가 accelerometer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