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Java Inside - Sun SPOT

이 글은 http://javba.tistory.com/ 블로그에도 함께 게제하였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기기는 일반 사용자들은 평생 만져보기 힘든 아주 특이한 장치이다. 특이한 기기를 좋아하는 geek이거나 소프트웨어 공학 관련 학교에서 이 기기를 운좋게 교육용으로 사용한다면 만져볼 수 있을라나?

Sun SPOT이라고 불리는 이 기기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것이 아닌 실험용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및 취미로 흥미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열렬 개발자를 위한 제품이다. Sun Lab에서 개발한 이 장치의 생김새는 아래와 같다.


(From http://www.sunspotworld.com)

위 사진에서 검은색 박스가 Sun SPOT 기기이다. 확 땡기는 외모는 확실히 아니다. ^^ 하지만, H/W 사양을 살펴보면 꽤 흥미롭다.
  • 180Mhz의 ARM9 CPU
  • 512KB RAM
  • 4MB Flash Memory
음... 아직까지는 그리 흥미롭지 못하다. 하지만 진짜는 지금부터.
  • USB
  • 2.4Ghz IEEE 802.15.4 radio 그리고 안테나
  • Accelerometer - iPhone에 쓰이는 것과 유사한 방향/기울기 등의 정보를 얻는 센서
  • 밝기 감지 센서
  • 온도 감지 센서
  • 8개의 3 색상 LED
  • 6개의 아날로그 입력
  • 5개의 GPIO
  • 4개의 고전류 출력 핀
꽤나 흥미로운 센서 및 입출력 H/W들이 달려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어떨까? 역시 흥미롭게도 Sun SPOT에는 운영체제 대신 Squark라고 하는 Java Virtual Machine이 탑재되어 있다. 이 VM을 이용하여 MIDP 라이브러리 및 Sun SPOT의 H/W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즉, 이 장치를 이용하면 Java application을 작성하여 여러 센서 및 네트워킹을 활용한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활용 예를 생각해 볼 수 있을까?
  • 일단 센서가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의 변경을 감지하는 소프트웨어가 개발 가능하다
  • 센서의 변경에 따른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GPIO와 LED가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 네트워킹이 가능하므로 센서로 받은 데이터를 외부 컴퓨터로 전송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센서 및 H/W 제어 프로그램을 Java 언어로 개발가능한 것이 바로 Sun SPOT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이런 장비로 수업을 가르쳐준다면 정말 멋지지 않을까? Sun SPOT이 가진 H/W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간단한 전자공학 내용을 가르치고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Java 언어를 배우며 직접 실험 프로젝트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개발해보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Sun SPOT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는 학교들이 있다.

Sun SPOT 개발 툴은 온라인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가격은 약 80만원 정도이다. 이 개발 툴에는 2개의 Sun SPOT 기기와 네트워킹을 위한 base station, 개발 SDK CD 등이 포함되어 있다. 좀 비싼가격이긴 하지만 여러분의 학교에서 구매하여 실습 장비로 제공한다면 충분히 돈 가치를 할 수 있는 장치이지 않을까?

참고 자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