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WWDC 2011: Session 100 What's new in Cocoa Touch

You can see all of session videos and presentation files of WWDC 2011 from here
 

NOTE - 이 글은 WWDC 2011 Session 100을 나름대로 정리하였습니다.


WWDC에서 100번 track은 application framework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개발자들에게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인만큼 세션의 갯수도 많습니다. 그 시작을 여는 Session 100은 iOS 5에서 Cocoa Touch에 어떤 새로운 점들이 있는지 쭉 살펴보고 해당 내용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룰 세션을 소개합니다.  

일단, 쉬운것 부터 살펴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생긴 UIStepper라는 새로운 컨트롤이 추가된다고합니다.


minimumValue, maximumValue를 지정할 수 있고 stepValue의 값으로 +, -가 눌릴 때 마다 그 만큼 값이 변경한다고 하네요.
Alert에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받아들이기 위한 창의적(?)인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고 하는데요. iOS 5부터는 다음과 같은 여러 style을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typedef enum { 

    UIAlertViewStyleDefault = 0, 
    UIAlertViewStyleSecureTextInput, 
    UIAlertViewStylePlainTextInput, 
    UIAlertViewStyleLoginAndPasswordInput
} UIAlertViewStyle;

HDTV와 같은 외부 스크린에 그릴 때 overscan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는데요. 제가 좀 이해가 안가서 이 부부은 그냥 skip 합니다. 현재는 관심도 없는 부분이네요.

화면의 밝기를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2개의 property를 제공합니다. H/W에서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는 값이하로 더 줄일 수 있도록 software dimming도 지원하네요.

@property (nonatomic) CGFloat brightness; 
@property (nonatomic) BOOL wantsSoftwareDimming;

iOS5에서부터는 영영사전이 기본적으로 탑재됩니다. (무료 사전들 타격 좀 입겠네요. 사용자 입장에서야 대 환영이지만요) UIReferenceLibraryViewController 클래스의 initWithTerm:(NSString *)term을 호출하여 원하는 단어에 대한 사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iOS5에서는 테이블뷰의 cell도 copy & paste가 가능하다네요. 또한, 테이블의 cell을 Interface Builder에서 디자인한 NIB을 사용해서 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거 원래 안되던건가요? 잘 모르겠네요...) 이를 위해 UITableViewCell 클래스에서 아래와 같은 메쏘드를 제공합니다.

- (void)registerNib:(UINib *)nib forCellReuseIdentifier:(NSString *)identifier;

테이블뷰의 바뀐 점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Session 125: UITableView Changes, Tips & Tricks"를 참고하세요.

UIImage 클래스에서는 소위 뺑뺑이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기 위해 아래와 같은 메쏘드가 제공됩니다. images 배열의 이미지들을 duration 간격으로 애니메이션을 보여줍니다.

+ (UIImage *)animatedImageNamed:(NSString *)name duration:(NSTimeInterval)duration;
+ (UIImage *)animatedImageWithImages:(NSArray *)images duration:(NSTimeInterval)duration;

Xcode4.3 버전에서는 스토리보드라는 방법으로 UI의 흐름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Xcode 4  버전부터 Interface Builder의 배경화면이 모눈종이 형태로 보여지고 화면 크기가 논리적으로 확장되더니만 다 이를 위한 사전 준비작업이었네요.


Story Board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ession 309: Introducing Interface Builder Storyboarding"을 참고하세요.

 UIKit의 컨트롤들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Appearance라고 하는데요. UIAppearance 프로토콜을 구현한 컨트롤들에 대해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Session 114: Customizing the Appearance of UIKit Controls" 세션을 참고하세요.

iBook에서 볼 수 있었던 우아한 자태의 page 넘김 효과를 여러분의 어플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새로이 추가된 컨테이너 뷰 컨트롤러인 UIPageViewController를 이용하면 책과 같이 페이지를 상하좌우로 넘기며 화면 전환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UIViewController에 addChildViewController, removeFromParentViewController 메쏘드를 제공하여 새로운 container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두가지 새로운 기능들에 대해서는 "Session 102: Implementing UIViewController Containment" 세션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iCloud에 문서를 저장하고 문서를 불러오기 위해 UIDocument 클래스에 여러 메쏘드 및 property가 추가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Session 116: Storing Documents in iCloud Using iOS 5" 세션을 참고하세요. Core Data 역시 iCloud를 지원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Session 303: What's New in Core Data in iOS"를 살펴보세요.

헥헥... 너무 많네요. 이제 얼마 안남았습니다. 정신차리고!

iOS 4 버전 부터 제공되던 Asset Library를 사용하여 새로운 Asset Group과 Library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자 분들에게 흥미로울 GameKit의 새로운 변경 사항에 대해서는 "Session 403: Essential Game Technologies for iOS, Part2"를 보세요.

잡지/신문 구독을 지원하는 NewsstandKit에 대한 내용은 "Session 504: Building Newsstand Apps" 세션을 참고하세요. 

Twitter에 통합된 iOS 기능들은 "Session 124: Twitter Integration" 세션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Image 처리를 위한 Core Image에 관심있는 분들은 "Session 402: Using Core Image on iOS and Mac OS X"을 보시면 됩니다.

게임 개발자들의 삶을 편하게 만들 GLKit에 대해서는 "Session 414: Advances in OpenGL ES for iOS 5"을 참고하세요.

휴... 이제 끝입니다. WWDC 2011 세션만 잘 골라봐도 iOS 5에서 새롭게 제공될 기술들에 대해서 잘 정리해볼 수 있겠네요. 워낙 Apple 개발자들이 발표도 잘해서 즐거운 마음으로 청취가 가능하답니다. 영어의 장벽만 없다면 정말 최고의 iOS 개발자 학습자료 입니다.

앞으로 100 track 기준으로 제가 관심있게 본 내용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WWDC 2011 정리한 글들:

댓글

  1. 아직 xcode4.2 beta 7이지요.
    storyboard를 위한 segue가 추가되고
    확실히 좋더구만요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