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Google's New Business - Mobile Operator?

Overview

News source: Google, Dish Held Talks to Launch Wireless Service





미국 내 위성 TV 사업자인 Dish와 Google이 무선사업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한다. 미국내 무선 통신 사업에 대한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왜 구글이 현재 사업과는 완전히 다른 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지 추측해보자.

What's Going On?

미국 내 약 1400만 가입자를 가진 Dish Networks사는 무선 통신 분야로 사업확장을 노리고 있다. 4G 무선 주파수에 대한 FCC의 조건부 승인을 받은 상태이며 사업 파트너를 물색 중이다. 그 중 Google이 Dish Network와 무선 사업에 대한 협력을 논의 중인 사실이 밝혀지면서 과연 Google이 무선 통신이라는 새로운 사업 분야에 뛰어들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 뉴스)

Google은 몇 개월전에 이미 Cable TV 사업 영역에 뛰어든 선례가 있다. Kensas City에 국한되기는 하지만 광통신 모바일 브로드밴드 사업자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Google Fiber TV 셋탑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관련 뉴스)

Source: Google fiber
Gigabit 인터넷은 한달에 $70, Google Fiber TV 서비스 포함하여 한달에 $120에 제공한다. 2 TB 크기의 Google Storage Box를 별도로 구매하면 TV 녹화도 가능하다. 당연히 Google Drive에 연결하여 Cloud 기반의 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Mobile Statistics

무선 통신 시장의 전망 및 현재 미국 내 사업자들의 통계 자료를 살펴보자.

  • 미국의 무선 통신 사용자는 이미 101% 가입률에 도달하였다. 최고 수준의 가입률을 보이는 유럽의 127%에 비해 약 25%정도 모자른 수치이지만 통신 시장의 규모 확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2018년 경에는 북미 가입자의 60% 이상이 4G LTE 사용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만큼 무선 환경에서도 많은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소비 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진다. (예: Google의 YouTube 를 HD로 시청)
  • 무선 통신 트래픽에서 데이터가 자치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4배 이상 음성 데이터량을 초과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미래에는 음성 서비스 역시 LTE 망에서 VoIP 등으로 제공 될 수 있으므로 이런 비교 자체가 무의미해질 수도 있다. Google의 경우 Hangout 이나 Google Voice와 같은 서비스를 LTE 망에서 제공할 수 있다.
  • 특히, 데이터 사용량 중 온라인 비디오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웹브라우저 사용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Google YouTube를 이용하여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컨텐츠 제공 업체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으며 어쩌면 기존 TV 제공자들을 뛰어넘는 방송사 아닌 방송사의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물론,  Google 광고와 함께)
Wikipedia에 따르면 미국 내 주요 무선사업자의 가입자 수는 아래와 같다.
  • Verizon - 111.3 million (1억 천만)
  • AT&T - 105.2 million (1억)
  • Sprint - 56 million (5천 6백만)
  • T-Mobile - 33.1 million (3천 3백만)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이미 가입자수는 포화상태이며 더 늘어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Google이 무선 통신 시장에 뛰어들어 얻을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일까?

Google's Dream

Google이 4G LTE 혹은 LTE-Advanced와 같은 고속의 무선 통신망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다고 가정해보자. 가입자의 휴대폰은 Android 기반일 것이고 모든 Google 서비스들이 기본적으로 탑재될 것이다.
  • YouTube를 언제 어디서든 시청할 수 있다. Google은 이를 통해 일종의 방송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광고 수익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Google Drive에 개인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언제든 필요할 때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점점 Google Doc과 같은 서비스에 사용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으며 무료로 제공받는 5GB 이상의 공간을 돈을 내고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할 수 있다
  • Google Voice와 Hangout을 이용하여 음성/영상 통화를 즐길 수 있다. 데이터 망을 이용하므로 가입자간 통화료는 별도로 책정할 필요도 없다
  • 당연히 인터넷 사용도 늘것이며 광고 수익 증대에 도움이 된다
Google이 갖춘 다양한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환경을 제공하여 우리들의 삶의 곳곳에 Google 서비스가 관여하도록 만든다. Google is Everywhere Anytime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Source: Syracuse University

Summary

  • Google과 Dish Network가 무선 통신 사업 협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이미 Google의 Google Fiber로 통신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 4G LTE 이후의 무선 통신 기술 발전에 의해 데이터 사용량은 증가할 것이며
  • 동영상 스트리밍과 같은 Google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많은 서비스들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하면 언제 어디서든 Google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하여 일반인들의 삶에 더욱 attach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아직은 언론에 흘러나온 소문일 뿐.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지켜보도록 하자. 여하튼, 미국에 통신회사가 하나 더 생긴다면 내가 몸 담고 있는 Nokia Siemens에는 당장은 나쁜 소식은 아닐 듯. 

Referenc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