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얻는 법 - Paul Graham의 블로그 글에서

Source Link: http://paulgraham.com/startupideas.html

Paul Graham의 블로그에서 좋은 글을 발견하여  간단히 정리해 둔다. 윈문은 위 링크를 참고.

당신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라. 진짜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집중하라. 억지로 만들어낸 그럴듯한 문제 말고.

Why is it so important to work on a problem you have? Among other things, it ensures the problem really exists.

많은 사람이 살짝 필요로 하는 문제보다는 적은 수의 사용자라도 정말로 해결하고 싶어하는 문제에 집중하라. (e.g. Microsoft Altair Basic - 알테어 베이직은 소수의 알테어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정말 필요한 제품이었다.)

"When you have an idea for a startup, ask yourself: who wants this right now? Who wants this so much that they'll use it even when it's a crappy version one made by a two-person startup they've never heard of? If you can't answer that, the idea is probably bad."

내가 생각한 문제가 가치있는 것인지 어떻게 확신할 수 있나? 특별한 방법은 없다. 단, 본인 스스로가 제대로 된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생각한 문제가 해결할 가치가 높을 것이다. 자기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의 말이 역시 옳다!

You want to know how to paint a perfect painting? It's easy. Make yourself perfect and then just paint naturally.

스타트업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아이디어를 잡아낼 수 있는 (catch) 정신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억지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잡아낸 아이디어를 우린 organic idea라고 부른다. 이런 능력은 하루 아침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1년은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텐데 보통 스타트업 회사를 성공시키기 위해 3년의 시간은 필요하니 1년 정도의 시간 투자는 아깝지 않다.

해결이 필요한 좋은 문제를 찾기 위해서는 "아. 지금이 편해"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 왜 내 메일 박스는 계속 넘치지? 왜 내 컴퓨터는 동영상만 돌리면 소리가 커지지? 등등. 모든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계속 질문을 던지자. 특히, 나를 화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면 이에 집중하자.

Live in the future, then build what's missing.

좋은 아이디어는 이미 누군가에 의해 구현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더라도 미리 포기하지 말자. 스타트업이 경쟁자에 의해 망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Whether you succeed depends far more on you than on your competitors.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자신에게 흥미로운 문제, 필요한 무엇인가가 보이면 직접 만들어본다" 이것이 스타트업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Live in the future and build what seems interesting. Strange as it sounds, that's the real recipe.

찾아본 단어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