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일본어 신문사설 공부 (2025/4/20) - 日米関税交渉 互いの利益となる道筋を探れ

 

https://www.yomiuri.co.jp/editorial/20250418-OYT1T50003/

1. 日米交渉はひとまず無難なスタートを切った形だ。日米双方とも立場を明確にした上で、互いの利益となる道筋を探っていく必要がある。

  • 단어:

    • 無難 (ぶなん): 무난함, 탈 없이 순조로움

    • スタート (スタート): 시작

    • 形 (かたち): 형태, 모양, 꼴

    • 双方 (そうほう): 쌍방, 양쪽

    • 立場 (たちば): 입장, 처지

    • 明確 (めいかく): 명확함

    • 利益 (りえき): 이익, 이득

    • 道筋 (みちすじ): (일의) 가닥, 방향, 전망

    • 探る (さぐる): 더듬다, 찾다, 탐색하다

    • 必要 (ひつよう): 필요

  • 한국어 해설: 미일 협상은 일단 무난한 시작을 보인 듯하다. 미일 양국 모두 입장을 명확히 한 후에, 서로의 이익이 되는 방향을 찾아나갈 필요가 있다.

  • 주요 문법:

    • 〜はひとまず〜を切った形だ (〜はひとまず〜をきったかたちだ): ~은 일단 ~을 시작한 모양이다. (어떤 상황이 일단락되었음을 나타냄)

    • 〜とも〜した上で (〜とも〜したうえで): ~도 ~한 후에 (두 가지 행위나 상황이 완료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감을 나타냄)

    • 〜となる道筋を探っていく必要がある (〜となるみちすじをさがっていくひつようがある): ~이 되는 방향을 찾아나갈 필요가 있다. (~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냄)

2. トランプ政権は、自動車などへの高関税策や「相互関税」を相次いで発動した。これを受け、赤沢経済再生相が米ワシントンで初回の交渉に臨んだ。

  • 단어:

    • 政権 (せいけん): 정권

    • 自動車 (じどうしゃ): 자동차

    • 高関税策 (こうかんぜいさく): 고관세 정책

    • 相互関税 (そうごかんぜい): 상호 관세

    • 相次いで (あいついで): 잇따라, 연이어

    • 発動 (はつどう): 발동

    • 受ける (うける): 받다

    • 経済再生相 (けいざいさいせいしょう): 경제재생상

    • 初回 (しょかい): 첫 회

    • 交渉 (こうしょう): 교섭, 협상

    • 臨む(のぞむ):임하다

  • 한국어 해설: 트럼프 정권은 자동차 등에 대한 고관세 정책과 "상호 관세"를 잇따라 발동했다. 이를 받아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미국 워싱턴에서 첫 협상에 임했다.

  • 주요 문법:

    • 〜などへの (〜などへの): ~등에 대한 (~에 대한 예시를 나타냄)

    • 〜を相次いで (〜をあいついで): ~을 잇따라 (~하는 행위가 연속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냄)

    • これを受け (これをうけ): 이것을 받아 (앞의 내용이 원인이 되어 뒤의 결과가 나타남을 나타냄)

    • 〜に臨んだ (〜にのぞんだ): ~에 임했다 (어떤 상황이나 회의 등에 참여함을 나타냄)

3. トランプ大統領は交渉直前、協議への同席を唐突に表明した。赤沢氏は約50分間にわたってトランプ氏と会談した後、ベッセント米財務長官らと約75分間、閣僚級協議を行った。協議では、早期に合意を実現することを確認した。

  • 단어:

    • 大統領 (だいとうりょう): 대통령

    • 交渉直前 (こうしょうちょくぜん): 협상 직전

    • 協議 (きょうぎ): 협의

    • 同席 (どうせき): 동석

    • 唐突 (とうとつ): 당돌함, 갑작스러움

    • 表明 (ひょうめい): 표명

    • 〜にわたって (〜にわたって): ~에 걸쳐 (시간, 범위 등을 나타냄)

    • 会談 (かいだん): 회담

    • 後(あと):후

    • 財務長官 (ざいむちょうかん): 재무장관

    • 〜ら: ~들(복수를 나타냄)

    • 閣僚級 (かくりょうきゅう): 각료급

    • 行う (おこなう): 행하다, 실시하다

    • 早期 (そうき): 조기

    • 合意 (ごうい): 합의

    • 実現 (じつげん): 실현

    • 確認 (かくにん): 확인

  • 한국어 해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직전, 협의에 동석할 것을 갑작스럽게 표명했다. 아카자와 씨는 약 50분 동안 트럼프 씨와 회담한 후,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등과 약 75분 동안 각료급 협의를 진행했다. 협의에서는 조기에 합의를 실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 주요 문법:

    • 〜直前 (〜ちょくぜん): ~직전 (어떤 시점 바로 앞임을 나타냄)

    • 〜への同席 (〜へのどうせき): ~에의 동석 (~에 함께 참석함을 나타냄)

    • 〜にわたって (〜にわたって): ~에 걸쳐 (시간의 경과를 나타냄)

    • 〜した後(〜のあと): ~한 후(시간의 흐름을 나타냄)

    • 〜を行う (〜をおこなう): ~을 행하다 (어떤 행위를 함을 나타냄)

    • 〜を実現することを確認した (〜をじつげんすることをかくにんした): ~을 실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하는 것을 명확히 인지하거나 결정했음을 나타냄)

4. 赤沢氏は会談後の記者会見で、トランプ氏から「日本との協議が最優先だ」との発言があったと述べた。トランプ氏はSNSに「大きな進展だ」と書き込んだ。

  • 단어:

    • 会談後 (かいだんご): 회담 후

    • 記者会見 (きしゃかいけん): 기자 회견

    • 発言 (はつげん): 발언

    • 述べる (のべる): 말하다, 진술하다

    • 最優先 (さいゆうせん): 최우선

    • 進展 (しんてん): 진전

    • 書き込む (かきこむ): 써넣다, 기입하다

  • 한국어 해설: 아카자와 씨는 회담 후 기자 회견에서 트럼프 씨로부터 "일본과의 협의가 최우선이다"라는 발언이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씨는 SNS에 "큰 진전이다"라고 썼다.

  • 주요 문법:

    • 〜後の (〜のあと): ~후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냄)

    • 〜から〜との発言があったと述べた (〜から〜とのはつげんがあったとのべた): ~로부터 ~라는 발언이 있었다고 말했다. (발언의 주체와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함)

    • 〜に書き込んだ (〜にかきこんだ): ~에 써넣었다 (행위의 장소를 나타냄)

5. トランプ氏には、対日重視の姿勢を印象づけることで日本との協議を有利に進め、他国との交渉に弾みをつけたいという狙いがあるのではないか。

  • 단어:

    • 対日重視 (たいにちじゅうし): 대일 중시

    • 姿勢 (しせい): 자세

    • 印象づける (いんしょうづける): 인상을 주다

    • 有利 (ゆうり): 유리

    • 進める (すすめる): 진행하다, 추진하다

    • 他国 (たこく): 타국, 다른 나라

    • 弾み (はずみ): 탄력, 기세

    • 狙い (ねらい): 노림, 목적

    • 〜のではないか (〜のではないか): ~이 아닌가 (추측이나 의문을 나타냄)

  • 한국어 해설: 트럼프 씨에게는 대일 중시 자세를 보여줌으로써 일본과의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고, 다른 나라와의 협상에도 탄력을 주고 싶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

  • 주요 문법:

    • 〜には、〜という狙いがあるのではないか (〜には、〜というねらいがあるのではないか): ~에게는 ~라는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닌가 (어떤 주체에 대한 추측이나 의문을 나타냄)

    • 〜ことで (〜ことで): ~함으로써 (어떤 행위를 통해 결과를 얻음을 나타냄)

    • 〜に弾みをつけたい (〜にはずみをつけたい): ~에 탄력을 주고 싶다 (~에 좋은 영향을 주고 싶다는 의지를 나타냄)

6. 赤沢氏が米側に関税措置の見直しを申し入れたのは当然だ。トランプ氏が関税措置によって製造業の米国内回帰を目指すのなら、日本企業の投資意欲を損なうような政策は取るべきではない。

  • 단어:

    • 米側 (べいがわ): 미국 측

    • 関税措置 (かんぜいそち): 관세 조치

    • 見直し (みなおし): 재검토

    • 申し入れる (もうしいれる): 제안하다, 신청하다

    • 当然 (とうぜん): 당연함

    • 〜によって (〜によって): ~에 의해서, ~으로 인해

    • 製造業 (せいぞうぎょう): 제조업

    • 米国内 (べいこくない): 미국 국내

    • 回帰 (かいき): 회귀

    • 目指す (めざす): 목표로 하다

    • 〜のなら: ~이라면(가정의 의미를 나타냄)

    • 日本企業 (にほんきぎょう): 일본 기업

    • 投資意欲 (とうしいよく): 투자 의욕

    • 損なう (そこなう): 손상시키다, 해치다

    • 政策 (せいさく): 정책

    • 取るべきではない (とるべきではない): 취해서는 안 된다

  • 한국어 해설: 아카자와 씨가 미국 측에 관세 조치 재검토를 요청한 것은 당연하다. 트럼프 씨가 관세 조치로 제조업의 미국 내 복귀를 목표로 한다면, 일본 기업의 투자 의욕을 해치는 정책은 취해서는 안 된다.

  • 주요 문법:

    • 〜のは当然だ (〜のはとうぜんだ): ~은 당연하다 (어떤 행위나 상황이 마땅함을 나타냄)

    • 〜によって (〜によって): ~에 의해서 (원인이나 수단을 나타냄)

    • 〜を目指すのなら (〜をめざすのなら): ~을 목표로 한다면 (가정의 의미를 나타냄)

    • 〜ような政策は取るべきではない (〜ようなせいさくはとるべきではない): ~와 같은 정책은 취해서는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는 강한 부정의 의미)

7. 日米双方とも交渉の詳細を明らかにしていないが、米国は農産品などの関税引き下げを求めたとみられている。自動車分野に「非関税障壁がある」といった主張を展開した可能性もある。

  • 단어:

    • 詳細 (しょうさい): 상세

    • 明らかにする (あきらかにする): 명확히 하다, 밝히다

    • 農産品 (のうさんひん): 농산품

    • 関税引き下げ (かんぜいひきさげ): 관세 인하

    • 求める (もとめる): 요구하다

    • 〜とみられている (〜とみられている): ~라고 여겨지고 있다 (추측이나 간접적인 정보를 나타냄)

    • 自動車分野 (じどうしゃぶんや): 자동차 분야

    • 非関税障壁 (ひかんぜいしょうへき): 비관세 장벽

    • 〜といった: ~와 같은(~등의 예시를 들 때 사용)

    • 主張 (しゅちょう): 주장

    • 展開 (てんかい): 전개

    • 可能性 (かのうせい): 가능성

  • 한국어 해설: 미일 양국 모두 협상의 자세한 내용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은 농산물 등의 관세 인하를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분야에 "비관세 장벽이 있다"는 주장을 펼쳤을 가능성도 있다.

  • 주요 문법:

    • 〜ていないが (〜ていないが): ~하지 않지만 (반대되는 내용을 이어갈 때 사용)

    • 〜を求めたとみられている (〜をもとめたとみられている): ~을 요구했다고 여겨지고 있다 (추측이나 간접적인 정보를 나타냄)

    • 〜といった主張(〜といったしゅちょう): ~와 같은 주장(~등의 예시를 들 때 사용)

    • 〜た可能性もある (〜たかのうせいもある): ~했을 가능성도 있다 (불확실한 추측을 나타냄)

8. 日本は、2020年に発効した日米貿易協定で、農産品については環太平洋経済連携協定(TPP)と同じ水準まで関税を引き下げた。これ以上の譲歩は、困難な状況にあると言えるだろう。

  • 단어:

    • 発効 (はっこう): 발효

    • 日米貿易協定 (にちべいぼうえききょうてい): 미일 무역 협정

    • 〜については: ~에 대해서는 (~에 관한 내용을 언급할 때 사용)

    • 環太平洋経済連携協定 (かんたいへいようけいざいれんけいきょうてい):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TPP)

    • 水準 (すいじゅん): 수준

    • 関税引き下げ (かんぜいひきさげ): 관세 인하

    • 譲歩 (じょうほ): 양보

    • 困難 (こんなん): 곤란함

    • 状況 (じょうきょう): 상황

    • 〜と言えるだろう (〜といえるだろう):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약간의 확신을 가진 추측이나 판단을 나타냄)

  • 한국어 해설: 일본은 2020년에 발효된 미일 무역 협정에서 농산품에 대해서는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과 같은 수준까지 관세를 인하했다. 이 이상의 양보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요 문법:

    • 〜については (〜については): ~에 대해서는 (~에 관한 내용을 설명할 때 사용)

    • 〜まで (〜まで): ~까지 (범위나 한계를 나타냄)

    • 〜と言えるだろう (〜といえるだろう):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약간의 확신을 가진 추측이나 판단을 나타냄)

    • 〜にあると言えるだろう(〜にあるといえるだろう): ~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한 상황임을 나타냄)

9. 自動車の安全基準などを「非関税障壁」に位置づけようとする姿勢も、理解に苦しむ。

  • 단어:

    • 安全基準 (あんぜんきじゅん): 안전 기준

    • 〜など: ~등 (예시를 나타냄)

    • 非関税障壁 (ひかんぜいしょうへき): 비관세 장벽

    • 位置づける (いちづける): 위치시키다, 자리매김하다

    • 姿勢 (しせい): 자세

    • 理解に苦しむ (りかいにくるしむ): 이해하기 어렵다

  • 한국어 해설: 자동차의 안전 기준 등을 "비관세 장벽"으로 규정하려는 태도 또한 이해하기 어렵다.

  • 주요 문법:

    • 〜など (〜など): ~등 (예시를 나타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