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alvik VM: GC Heap에 대한 Overview

Dalvik VM은 Java VM과 마찬가지로 garbage collection되는 heap을 제공한다. 즉, 할당된 메모리에 대해 명시적으로 메모리 해지를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Dalvik GC heap의 내부 구현을 들여다보면 기존 Sun JDK가 제공하던 GC heap과는 상당히 다른 구현방법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차이로 Java 코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생긴다. 이 글에서는 Dalvik의 GC heap의 구조와 객체가 생성되어 메모리를 할당받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실제 garbage collection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한다.)

GcHeap - Garbage Collected Heap 구조체

Dalvik 은 내부 Heap을 관리하기 위해 GcHeap이라는 구조체를 사용한다. 이 구조체의 주요 멤버 변수들을 살펴보면서 GC Heap의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HeapSource *heapSource;

heapSource 에는 GC Heap이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Heap 메모리의 포인터, 초기 크기, 최대 크기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GC Heap에서 사용되는 Heap 메모리는 dlmalloc이라는 오픈소스 메모리 관리자를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 dlmalloc의 create_mspace 함수를 호출하여 생성된 mspace 포인터를 HeapSource로 관리한다.

(참고. dlmalloc 이란?)

dlmalloc은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Oswego 교수님이신 Doug Lee가 작성한 오픈소스 메모리 관리자이다. Doug Lee가 Solaris나 기존 UNIX 환경에서 사용하던 메모리 관리자에 불만을 느끼고 성능 및 fragmentation 이슈를 최소화한 메모리 관리자를 목표로 개발한 오픈소스 코드이다.
Android는 GC Heap에서 객체를 allocation하고 free 하는 등의 메모리 관리를 모두 dlmalloc에 의존하고 있어 dlmalloc의 수행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HeapRefTable nonCollectableRefs;

nonCollectableRefs는 GC 수행 시 삭제되어서는 안 되는 객체들의 목록을 유지한다. 삭제되지 않는 객체는 dvmMalloc으로 메모리 할당 시 ALLOC_NO_GC 속성을 주어서 만들 수 있다. Dalvik 코드를 보면 생성 중인 쓰레드가 중간에 garbage collection 되어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 속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할당하고 쓰레드 생성이 모두 완료되면 dvmClearAllocFlags 함수를 호출하여 쓰레드 객체에 대해 ALLOC_NO_GC 속성을 지워버리게 구현되어 있다.

LargeHeapRefTable *finalizableRefs;

finalizableRefs에는 finalization이 필요한 Java 객체의 목록을 유지한다. finalization이 필요한 객체란 Object의 public void finalize() 메쏘드를 override 해서 구현한 객체를 뜻한다. GC에 의해 객체가 정리될 때 해당 객체의 finalize() 메쏘드를 호출하여 마지막으로 사용한 자원을 정리할 기회를 제공한다.

enum { SR_COLLECT_NONE, SR_COLLECT_SOME, SR_COLLECT_ALL }
softReferenceCollectionState;


softReferenceCollectionState은 SR_COLLECT_NONE, SR_COLLECT_SOME, SR_COLLECT_ALL 중 하나의 값을 가지는 enum 타입이다. 이 값은 GC 중 SoftReference 정리에 대한 규칙을 나타낸다. 객체에 대해 SoftReference를 유지하면 만일, VM에 메모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가 되면 해당 객체가 비록 reference가 유지된 상태지만 GC 처리해서 메모리에서 제거 가능토록 한다. 주로, cache를 구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다.
SR_COLLECT_NONE 이면 SoftReference 참조 객체를 GC 처리하지 않고 SR_COLLECT_ALL 이면 모든 SoftReference 참조 객체들을 GC 대상으로 삼는다.

Object *softReferences;
Object *weakReferences;
Object *phantomReferences;


앞에서 설명한 SoftReference된 객체는 위에 보이는 멤버 변수에 관리된다. 이 목록은 매번 GC가 수행될 때 새로 만들어진다.

WeakReference는 SoftReference보다 더 약한 연결 고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SoftReference로 참조된 객체는 VM에 메모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사항이 되기 전에는 그 참조가 유지된다. 그러나, WeakReference로 참조된 객체는 GC가 발생하면 현재 메모리 상태에 상관없이 바로 메모리에서 정리될 수 있다.
GC에 의해 특정 객체가 finalize 되었는데 만일 이 객체에 대해 PhantomReference가 설정되어 있었다면 이 객체를 메모리에서 바로 정리하지 않고 PhantomReference Queue에 참조를 등록하여 코드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객체의 자원 정리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GC Heap에서 메모리 할당받기 - dvmMalloc 함수

dvmAllocObject 함수를 이용하여 Dalvik VM에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Object* dvmAllocObject(ClassObject* clazz, int flags);

함수 원형을 보면 1번째 인자가 생성하려는 객체의 클래스 정보이고 2번째 정보는 ALLOC_NO_GC와 같은 속성값을 지정할 수 있다. dvmAllocObject 함수는 객체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기 위해 dvmMalloc 함수를 호출한다.

void* dvmMalloc(size_t size, int flags);

dvmMalloc 함수는 다시 tryMalloc 함수를 호출하여 GC Heap에서 객체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얻으려 한다. tryMalloc 함수는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 할당받기 위해 노력하며 모든 방법이 다 실패하면 NULL을 반환한다.
  • dvmHeapSourceAlloc 함수를 호출하여 객체에 필요한 메모리 할당을 시도한다.
  • 만일 위 과정이 실패하면 gcForMalloc(false)를 호출하여 strong reference에 대해서만 GC를 수행하고 다시 dvmHeapSourceAlloc를 호출하여 메모리 할당을 시도한다.
  • 위 과정이 실패하면 dvmHeapSourceAllocAndGrow 함수를 호출하여 GC Heap 크기 자체를 늘리도록 한 후 메모리 할당을 시도한다.
  • 아직도 실패한다면 gcForMalloc(true)를 호출하여 soft reference까지 포함하여 GC를 수행하고 다시 메모리 할당을 해본다.
  • 위 과정이 모두 실패한다면 Out Of Memory 예외가 발생할 것이다.
객체에 대한 메모리 할당 중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GC를 수행하여 여유 메모리 공간을 늘리도록 시도한다. GC에 의해 불필요한 객체를 정리하고 GC Heap의 메모리 공간을 늘리는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Wireless: HotSpot 2.0 이란?

스마트폰 사용자가 HotSpot 2.0을 지원하는 Wi-Fi 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존 Wi-Fi 망과 달리 이동통신 망에서 Wi-Fi 망으로의 네트워크 연결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고 있다가 HotSpot 2.0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면 영화 시청 중단 없이 Wi-Fi 망으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 연결이 이동하여 3G 망의 부하도 줄이고 사용자의 네트워크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시스코에서 제공한 White Paper 를 참고.

Apple M1 Mac Mini에서 이더리움 (Ethereum) 채굴하기

 돈을 벌 목적은 아니고 이더리움 기술에 대한 호기심에 직접 채굴(마이닝)에 나서 보기로 했다. 머신은 Apple M1 Mac Mini. 스팩을 살펴보니 8 Core GPU에 16GB 메모리를 공유하고 있어 가능은 해보인다. 큰 흐름은 다음과 같다.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을 만든다 만든 지갑의 정보를 잘 보관해둔다 (Secret Recovery Phrase, 지갑의 주소 값)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 설치 내 지갑 정보를 이용해서 채굴 프로그램 실행 일단, 채굴한 이더리움을 저장할 지갑(wallet)을 만들어야 한다.  크롬 브라우저 익스텐션 설치로 비교적 간단하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https://metamask.io/ 를 이용하기로 했다.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 후 기존에 만든 지갑이 없으므로 "Create a Wallet"을 선택한다. 패스워드 입력하고 등등의 절차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Secret Recovery Phrase가 나온다. 이 값을 잘 보관해두기 바란다. 나중에 지갑을 복구할 때 필요한 값이다. 이 값이 유출되면 지갑에 모아둔 이더리움을 다 털릴 수 있으므로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Confirm Your Secret Phrase에서 확인 과정을 거친다.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별 버튼을 일일이 클릭해서 확인해주어야 한다. (좀 번거롭지만 그만큼 Secret Recovery Phrase가 중요함을 인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이제 지갑은 준비 완료. 생성된 Account 화면에서 지갑의 주소갑을 얻을 수 있다.  Apple M1용 채굴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Ethminer M1 Github 프로젝트 에서 미리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 (Assets를 펼치고 ethminer-m1을 클릭해서 다운 받으면 된다) 원하는 폴더에 파일을 옮겨 놓고 Terminal에서 chmod +x로 실행가능하게 만든다. % mv ~/Downloads/ethminer-m1 .   ...

SKT HSS 서버 해킹 사태에서 USIM 교체의 보안 효과

최근 발생한 SKT의 HSS(Home Subscriber Server) 서버 해킹 사건은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중대한 보안 위협입니다. IT 및 통신 보안 전문가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USIM 교체가 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HSS(Home Subscriber Server)란 무엇인가? HSS는 이동통신망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가입자에 대한 모든 인증, 권한 부여, 이동성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가입자의 '마스터 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휴대폰을 켜거나 기지국에 연결될 때마다 단말기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S에 접근하고, HSS는 해당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HSS에 저장되는 주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포함됩니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가입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국제 표준 식별자입니다. USIM 인증 키 (Authentication Key): USIM과 HSS 간의 상호 인증에 사용되는 비밀 키입니다. 이 키는 통신 세션 설정 시 무단 접근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서비스 프로파일: 가입자가 어떤 서비스(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부가 서비스 등)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동성 관리 정보: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여 통신 연결을 유지합니다. SKT HSS 서버 해킹의 기술적 의미 이번 SKT HSS 서버 해킹은 공격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장 민감한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에 침투했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가집니다. 정확한 공격 경로는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일반적으로 HSS와 같은 중요 서버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